구본권의 스마트 돋보기
‘공짜’니까 불만 있으면 안 쓰면 된다고?
거대한 서비스에서 벗어날 수 없는 현실
페이스북은 실명을 고수해왔다. 누군가의 신고 등으로 실명이 아니라는 게 확인되면 서비스가 정지된다. 페이스북은 세계 최대의 사회관계망 업체가 된 요인의 하나로 실명 정책을 든다. <월스트리트 저널>은 페이스북의 실명 고수에 대해 사용자를 실제 신원으로만 활동하게 해 타깃 광고가 잘 먹히게 하는 페이스북 사업모델의 핵심이라고 보도했다.
카카오톡.
|
하지만 10월1일 페이스북은 “성적 소수자 커뮤니티(LGBT)에 사과한다”며 실명 정책을 완화하겠다고 밝혔다. 그동안 성적 소수자를 비롯해 가정폭력 희생자들은 실제 이름을 쓸 수 없다며 불만을 제기해왔지만, 페이스북은 묵살해왔다. 페이스북의 정책 변화에는 사용자들의 집단적인 온라인 행동이 큰 영향을 끼쳤다. 청원사이트(change.org)에서 실명 반대 서명자가 3만6000명을 넘어섰고, 엘로(Ello)처럼 가명을 쓸 수 있는 대안 서비스 가입이 늘었다.
인터넷 서비스에 불만이 있을 때 개인적으로 안 쓰는 것은 해결책이 못 된다. 페이스북이나 카카오톡처럼 자신들의 지인 대부분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나 혼자 안 쓰는 것으로 해결되지 않는다. 타인과의 소통을 위해서 어쩔 수 없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. ‘무료’로 보이지만, 업체는 광고를 통한 수익모델을 택했을 따름이고, 사용자 편의를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업체의 이윤 추구가 우선이다. 무료이니 ‘내가 안 쓰면 그만’이라고 그쳐서는 안 될, 사용자가 벗어날 수 없는 거대한 플랫폼 서비스에 이미 편입되어 있는 현실이다.
<통제하거나 통제되거나>의 저자 더글러스 러시코프는 “돈을 내지 않고 사용한다면 당신이 상품이다”라고 말한다. 즉 페이스북 같은 서비스에서 이용자는 고객이 아니라 상품이라는 말이다.
구본권 사람디지털연구소장 starry9@hani.co.kr